반응형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해당하는지에 따라 정부 지원금 정책등을 받는 기준이 됩니다. 그러면 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지 2022년기준 중위 소득표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상담을 하고있는 모습

 

중위소득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으로  매년 정부에서 이 중위소득을 기본으로 각종 경제지표를 반영한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고시하고 있습니다. 

 

이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하며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정부의 복지정책에서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책 복지

 

2022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 1인가구 1,944,812원
  • 2인가구 3,260,085원
  • 3인가구 4,194,701원
  • 4인가구 5,121,080원
  • 5인가구 6,024,515원
  • 6인가구 6,907,004원
  • 7인가구 7,780,592원
  • 8인가구 8,654,180원

 

 

 

2022 기준 중위소득표

2022년 기준 중위소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계산방법은 예를 들어 기준중위소득에 120%에 해당하는 기준을 계산한다면  기준중위소득 3인 가구 4,194,701 × 120% = 5,033,641원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8인가구
기준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8,654,180
30%
생계급여 수급기준
583,444 978,026 1,258,410 1,536,324 1,807,355 2,072,101 2,334,178 2,596,254
40%
의료급여 수급기준
777,925 1,304,034 1,677,880 2,048,432 2,409,806 2,762,802 3,112,237 3,461,672
46%
주거급여 수급기준
894,614 1,499,639 1,929,562 2,355,697 2,771,277 3,177,222 3,579,072 3,980,923
50%
교육급여 수급기준
972,406 1,630,043 2,097,351 2,560,540 3,012,258 3,453,502 3,890,296 4,327,090
100%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8,654,180
120% 2,333,774 3,912,102 5,033,641 6,145,296 7,229,418 8,288,405 9,336,710 10,385,016

 

노인이 책을 보고 있다

★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 ★

위에 기준 중위소득표를 통해 본인의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것이 간단한 월급기준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닌 건강보험료를 통해 가구 소득수준, 재산 등을 반영해 개인별로 본인부담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기준으로 기준 중위소득 100% 보다 많거나 적은지를 확인하면 자신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가 있습니다.

 

아래 표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보면 3인가구로 직장가입자 본인부담금으로 13만원을 납부하고 있다면 3인가구 직장인 가입자 147,798원에 미치지 못해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에 해당하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기준 중위소득 100%)]

가구원수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2,334,000 82,112 36,122  
2인 3,260,000 114,816 103,218 115,672
3인 4,195,000 147,798 144,703 149,666
4인 5,121,000 180,075 187,618 182,739
5인 6,025,000 212,712 229,170 216,279
6인 6,907,000 244,759 269,412 249,469
7인 7,781,000 272,614 303,435 279,532
8인 8,654,000 307,505 342,082 319,763

본인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조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첫페이지 중간에 보험료 조회/납부를 클릭하시면 간단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에 2022년 7월 11일 이후 코로나 지원금을 신청하신다면 기준중위소득 100%이하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4인가구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기준 180,075원 이하로 납부하시는 경우에만 코로나 격리시 생활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을 알려 드렸습니다. 요약해서 다시 설명드리면 위에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를 기준으로 자신이 납부하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을 확인해 기준 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함께 보면 유익한 글 모음]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는 회사 입사할때 경력증명 또는 대출관련 재직 확인할때 주로 필요한 서류입니다. 발급받는 방법은 정부24, 국민건강보험 사이트, 무인민원 발급기를 통해 발급 받을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재산세 조회 카드 납부 까지 한번에 해결하기

재산세 중 주택분 재산세는 10만원 이상이면 년 2회 납부를 합니다. 7월에 한번, 9월에 한번 이렇게 두번 납부를 하는데 고지서를 못받거나 편리하게 카드 납부하는 방법을 한번에 해결해드리도

재산세 조회 납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공인중개사가 알려준 방법

아파트 실거래가를 알고 있으면 아파트를 매수 매도 할때 적정 금액으로 계약을 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방법은 여러 사이트들을 통해 가능하지만 공인중개사가 알려준 방법을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